임플란트 실패 원인 개선 : 민락 치과 상악동 거상술
안녕하세요, 류근수입니다.
본 포스팅은 객관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작성되었으며,
증례 사진의 진료 기간은
아래에 적어두었으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2025.04.05 ~ 2025.05.01


상실된 치아의 기능을
대신하기 위해서
틀니, 임플란트, 브릿지 등
다양한 치료를 진행합니다.
오늘 민락 치과 에서는
임플란트에 대한 이야기를
나눠보려 합니다.
내 치아의 기능을 80%가량 대신
할 수 있는 치료 방법 가운데 하나로
자연치와 비슷하게
잇몸뼈에 나사를 심어
단단하게 지지를 얻어냅니다.
그렇기 때문에 식립 환경이
제대로 갖춰져 있어야
안정적으로 나사가 들어가
온전한 힘을 발휘할 수 있죠.
『 그런데 만일 뼈가 충분하지 않다면,
어떤 문제가 생겨날까요 ? 』
민락 치과 에서 이에 대한
이야기를 준비해 봤습니다.
예시 케이스 자료를 보면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사진을 보시면 알 수 있듯
좌측 윗쪽에 있는 큰어금니
두 개가 상실되어 있습니다.
부분 틀니나 브릿지를
사용하는 것보단
임플란트가 더욱
적합하다 판단되고 있습니다.
수술이 가능한지
식립 환경은 어떤지
정밀 검사를 진행합니다.

Panorama를 통해
관찰해 보니
윗쪽에 있는 구조인
[상악동]과 거리가
매우 가까웠습니다.
남아있는 치조골의
높이를 측정해 보니
1mm 이하였는데
이런 경우, 종잇장처럼 얇아
거상술 및 뼈 이식을 진행하더라도
그 예후가 불량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더군다나 일전에 식립을
진행한 적 있는 경우라면
재수술에 해당하여
더욱 까다로워질 수밖에 없죠.
이런 케이스에서는 우선
거상술 및 골 이식 과정을
진행하게 됩니다.
이후 골 화가 잘 진행되어
내 뼈처럼 단단해지면,
나사를 심게 되죠.
『 그 과정을
관련 자료를 보며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

우선 삼차원적인 영상 자료인 CT를 통해
정밀 분석을 시작하게 된답니다.
– 어디서 접근해서 거상을
진행하는 것이 좋을지.
– 어디에 어느 정도의 양의
뼛가루를 이식해야 되는지.
– 환자 상악동의 특징은
어떠한지.
– 우려되는 문제는
없는지
여러 요소를 면밀히
평가합니다.

그 결과, 해당 예시 케이스는
상악동 격벽(Septum)이
존재했기 때문에
천공이 우려되는
상황이었습니다.

민락 치과 예시 사진을
보면 희미하게
흰색 선이 상악동 내에 있는
모습이 관찰되고 있습니다.
격벽이 존재하기 때문인데
이런 케이스에서는 막을 올릴 때
찢어질 우려가 매우 높아
신중을 기여해야 됩니다.
『 측방 접근법을 활용한
거상술 단계 』
민락 치과 예시 케이스처럼
잇몸뼈가 종잇장처럼 얇아
1mm도 안되는 경우,
잇몸뼈의 옆쪽에서 접근하여
상악동 막을 들어 올리고,
확보된 공간에 골 이식을
진행하는 방법을
주로 시행하게 됩니다.

Lateral appeoach는
광범위한 영역에 골이식을
동반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으며,
시술 부위를 술자가 눈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섬세하고 세밀함이
요구되는 작업인데,
치대 학생 시절
연습하기 위해서
계란 껍데기를 조심스럽게 제거하여
드러난 얇은 막을 들어 올리고
생겨난 공간에 이식재를 넣는
연습을 많이 했던 기억이 납니다.
손으로 조금만 힘을 줘도
깨져버리는 계란을
조심스럽고 안정적으로
컨트롤할 수 있는 기술이 있어야
실제 거상술을 진행할 때
안전하게 막을 들어 올릴 수 있죠.

측방 접근을 통하여
재건에 들어간 결과,
예시로 준비한 민락 치과 CT에서
뼛가루가 위치를 고르게 잡음으로써
식립 환경이 개선된 모습이 확인되었습니다.
이제 일정한 패턴이 관찰되며
골 화가 진행될 수 있도록
치유 단계에서 주의할 점을
잘 지켜주어야 됩니다.
그래야 기존에 갖고 있던
내 뼈처럼 단단해져서
임플란트를 심을 수 있는
적합한 환경이 조성됩니다.

이 과정은 충분히
여유를 두고 지켜보는데
보통 6개월가량 치유를 거치면
골화를 관찰할 수 있습니다.
오늘 민락 치과 에서는
임플란트 식립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상악동 거상술 관련 정보를
공유해 드렸습니다.
질환으로 인하여
이를 뽑게 되면
대개 그 환경이 불량하기에
개선하는 과정을 필요로 하는 경우를
종종 찾아볼 수 있습니다.
치료 과정이나 필요성에 대해
잘 모르시는 분이 많은데
오늘 글을 통해
많은 정보 얻어 가셨길
바랍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